피에트로 마스카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에트로 마스카니는 이탈리아의 오페라 작곡가로, 1863년 리보르노에서 태어나 1945년 로마에서 사망했다. 빵집 주인의 아들로 태어났지만 음악에 대한 열정으로 작곡가의 길을 걸었다. 1890년 손조뇨 콩쿠르에서 당선된 오페라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로 일약 성공을 거두었으나, 이 작품의 성공이 이후 작품 활동에 부담으로 작용하기도 했다. 이후 《친구 프리츠》, 《아이리스》 등 여러 오페라와 오페레타, 관현악곡 등을 작곡했다. 파시스트 정권에 협력한 행적으로 인해 몰락했고, 말년에는 재산을 몰수당하는 등 불우한 시기를 보냈다. 그의 작품은 현재도 공연되고 있으며, 영화 《대부 3》 등에 삽입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탈리아의 클래식 작곡가 - 루제로 레온카발로
루제로 레온카발로는 《팔리아치》로 유명한 이탈리아 작곡가이자 극작가로, 자신의 오페라 대본을 직접 집필하고 푸치니의 《마농 레스코》 대본에도 참여했으며, 다양한 작품을 남겼으나 현재는 《팔리아치》 외 작품은 저평가되어 재평가가 필요하다. - 이탈리아의 클래식 작곡가 - 니콜로 파가니니
니콜로 파가니니는 이탈리아의 바이올린 연주자이자 작곡가로, 뛰어난 연주 기교로 명성을 얻었으며 24개의 카프리스와 바이올린 협주곡 등을 작곡하고 후대 음악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 1863년 출생 - 호머 헐버트
호머 헐버트는 미국의 교육자이자 선교사이자 언론인이자 역사학자이자 독립운동가로서, 육영공원 교사로 한국과 인연을 맺은 후 한글 연구 및 보급, 한국 역사와 문화 알리기, 고종의 외교 특사 활동, 헤이그 특사 파견 지원 등 대한제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했으며 대한민국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받았다. - 1863년 출생 - 헨리 포드
헨리 포드는 포드 자동차 회사를 설립하고 모델 T 자동차를 대량 생산하여 자동차 산업과 미국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포디즘이라는 용어를 탄생시키고 혁신적인 경영 방식을 도입했지만, 반유대주의적 언행과 노동조합 탄압으로 논란을 일으킨 미국의 기업인이다. - 이탈리아의 로마 가톨릭교도 - 필리포 브루넬레스키
필리포 브루넬레스키는 이탈리아 르네상스 초기의 건축가, 조각가, 기술자로, 피렌체 대성당 돔 설계 및 건설, 선 원근법 체계화 등 건축과 미술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친 르네상스 시대의 대표적인 만능인이다. - 이탈리아의 로마 가톨릭교도 - 실비오 베를루스코니
실비오 베를루스코니는 이탈리아의 사업가이자 정치인으로, 세 차례에 걸쳐 총리를 역임했으며, 미디어셋 설립, 포르차 이탈리아 창당, 친미 외교 정책, 탈세 및 성 스캔들 등 여러 법적 문제와 논란에 휘말렸다.
피에트로 마스카니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출생명 | Pietro Antonio Stefano Mascagni |
출생지 | 이탈리아 리보르노 |
출생일 | 1863년 12월 7일 |
사망일 | 1945년 8월 2일 |
사망지 | 이탈리아 로마 |
배우자 | Lina Carbognani (1889년 결혼) |
직업 | 작곡가 |
![]() | |
음악 경력 | |
장르 | (제공된 정보 없음) |
악기 | (제공된 정보 없음) |
활동 기간 | (제공된 정보 없음) |
레이블 | (제공된 정보 없음) |
소속사 | (제공된 정보 없음) |
협력자 | (제공된 정보 없음) |
웹사이트 | (제공된 정보 없음) |
구성원 | (제공된 정보 없음) |
이전 구성원 | (제공된 정보 없음) |
주요 사용 악기 | (제공된 정보 없음) |
2. 생애
이탈리아의 작곡가 피에트로 마스카니는 빵집 주인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아버지는 법학 공부를 원했지만 음악에 대한 열정을 꺾지 못했다. 삼촌의 도움으로 고향 리보르노의 음악원에서 음악 공부를 시작했고, 20세 이전에 이미 교향곡, 오페라, 칸타타 등을 작곡하며 재능을 보였다. 이후 후원자의 도움으로 밀라노 음악원에 입학하여 아밀카레 폰키엘리에게 배웠으나, 학업을 마치지 않고 중퇴하여 순회 오페레타 극단의 지휘자로 활동했다. 이후 체리뇰라의 음악학교 교사로 정착했다.
1890년, 로마의 악보 출판사 손조뇨가 주최한 손조뇨 콩쿠르[14]에 단막 오페라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를 응모하여 당선되면서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다. 이 작품은 엄청난 성공을 거두었지만, 역설적으로 이후 발표된 그의 다른 많은 작품들의 빛을 바래게 하는 결과를 낳기도 했다. 그럼에도 마스카니는 15개의 오페라와 1개의 오페레타, 그리고 다수의 관현악곡, 성악곡, 가곡, 피아노곡을 남겼다. 1895년에는 페사로에 있는 로시니 음악원의 원장으로 취임하기도 했다.
마스카니는 생전에 오페라 작곡가로서뿐만 아니라 지휘자로서도 큰 성공을 거두었다. 그의 음악 스타일은 동시대의 친구이자 라이벌이었던 푸치니와는 상당히 달랐으며, 이 때문에 일부 평론가들로부터 그의 작품이 과소평가받기도 했다.
파시스트 정권 시기에는 밀라노의 스칼라좌 감독 자리를 얻기 위해 무솔리니에게 접근하는 등 정권에 협력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로 인해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이탈리아가 패망한 후 모든 공직과 재산을 박탈당했으며, 로마의 한 호텔에서 외롭게 생을 마감했다. 그의 유해는 처음에 로마에 묻혔으나, 1951년 고향 리보르노로 이장되면서 명예가 회복되었다.
마스카니가 직접 지휘하여 남긴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 《친구 프리츠》 등의 녹음은 오늘날에도 높은 평가를 받으며 CD 등으로 발매되고 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1863-1880)
마스카니는 1863년 12월 7일 이탈리아 토스카나주 리보르노에서 도메니코 마스카니와 에밀리아 마스카니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아버지는 제과점을 운영했다. 같은 해 리보르노에서 태어난 조반니 타르조니-토체티("난니")는 마스카니의 평생 친구이자 협력자가 되었다.아버지는 그가 법학을 공부하기를 원했지만, 마스카니는 음악에 대한 열정이 강했다. 삼촌의 도움으로 고향의 음악원에서 본격적으로 음악 공부를 할 수 있었다. 1876년, 13세 때 알프레도 소프레디니에게 음악을 배우기 시작했다. 소프레디니는 ''리보르노 음악원''(훗날 ''케루비니 음악원'')의 설립자였다. 리보르노 출신인 소프레디니는 밀라노에서 음악 공부를 마치고 돌아온 작곡가이자 교사, 음악 평론가였다.
마스카니는 빠르게 작곡 실력을 키워 1879년부터 1880년 사이에 ''다단조 교향곡'', ''바장조 첫 번째 교향곡'', ''비가'', ''키리에'', ''글로리아'', ''아베 마리아'' 등 여러 작품을 썼다. 20세가 되기 전에 이미 교향곡, 오페라, 칸타타 등을 작곡하며 재능을 인정받았다.
2. 2. 음악 경력: 밀라노 시기 (1880-1889)
1881년 2월 9일, 피에트로 마스카니의 첫 번째 칸타타인 《In Filanda》가 체루비니 음악원에서 초연되었고, 밀라노에서 열린 음악 콩쿠르에서 1등상을 수상했다. 같은 해, 마스카니는 밀라노에서 음악가 아리고 보이토와 아밀카레 폰키엘리를 만났다.1882년에는 프리드리히 실러의 시를 바탕으로 《칸타타 알라 조이아》를 작곡했으며, 이어서 성악과 피아노를 위한 《라 스텔라 디 가리발디》와 《라 투아 스텔라》를 만들었다. 그해 5월 6일, 마스카니는 고향 리보르노를 떠나 밀라노로 이주했고, 10월 12일 밀라노 음악원 입학 시험에 합격하여 아밀카레 폰키엘리에게 사사했다. 밀라노에서 그는 훗날 유명 작곡가가 되는 자코모 푸치니와 교류했으며, 손조뇨 출판사(Casa Musicale Sonzogno)의 예술 감독인 아민토레 갈리에게 가르침을 받았다.[8]
1883년 1월 9일, 마스카니의 누이 마리아가 세상을 떠났다. 칸타타 《In Filanda》는 《피노타》라는 제목으로 수정되어 음악원 콩쿠르에 출품되었으나, 등록 마감일을 넘겨 접수되지 못했다.
1884년에는 테너와 피아노를 위한 《발라타》, 소프라노와 피아노를 위한 스케르초 《M'ama non m'ama》, 《메사지오 다모레》, 《알라 루나》 등을 작곡했다.
1885년, 마스카니는 안드레아 마페이의 글을 바탕으로 테너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로맨스 《일 레 아 나폴리 인 크레모나》를 작곡했다. 하지만 그는 학업을 마치지 못하고 밀라노 음악원을 중퇴했다. 이후 비토리오 폴리, 알폰소 스코냐밀리오, 치로 스코냐밀리오가 운영하는 오페레타 극단과 제노바의 루이지 아르날도 바살로 극단에서 지휘자로 활동하며 순회 공연을 시작했다.
1886년에는 흥행주 루이지 마레스카를 만나 함께 일하기 시작했다. 그해 12월, 마스카니는 마레스카 극단과 함께 체리뇰라에 도착했는데, 이때 미래의 아내가 될 아르제니데 마르첼리나 카르보냐니(리나)가 동행했다. 마스카니는 체리뇰라 시장 주세페 칸노네의 도움을 받아 얼마 지나지 않아 마레스카 극단을 떠났다.
1888년, 그는 체리뇰라에 새로 설립된 필하모니아의 음악 및 성악 마스터로 임명되어 명성을 얻기 시작했으며, 피아노 레슨도 병행했다. 그해 2월에는 《글로리아 미사》 작곡에 착수했다. 7월, 손조뇨 출판사는 《테아트로 일루스트라토》를 통해 1막 오페라 콩쿠르를 공고했다. 심사위원단에는 아민토레 갈리와 안토니오 기슬란초니 등이 포함되었다.
1889년 2월 3일, 마스카니는 리나 카르보냐니와 결혼했고, 다음 날인 2월 4일 첫 아들 도메니코 마스카니("미미")가 태어났다. 그는 5월 27일에 콩쿠르 출품작인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의 작곡을 마치고 원고를 밀라노로 보냈다. 마스카니의 이 작품은 니콜라 스피넬리의 《라빌리아》와 빈첸초 페로니의 《루델로》를 포함한 72개의 경쟁작을 제치고 최종 우승작으로 선정되었다.[9]
2. 3. 전성기 (1890-1909)

1890년 로마의 악보 출판사 손조뇨의 콩쿠르[14]에 응모하여 당선된 대표작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는 마스카니에게 엄청난 성공을 안겨주었다. 1890년 2월 21일 로마로 소환된 그는 5월 17일 로마의 테아트로 코스탄치에서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를 초연했다. 이 오페라는 즉각적인 성공을 거두며 피렌체, 토리노, 볼로냐, 팔레르모, 밀라노, 제노바, 나폴리, 베네치아, 트리에스테 등 이탈리아 주요 도시에서 공연되었다.
국제적인 명성도 빠르게 얻었다. 같은 해 12월 구스타프 말러가 부다페스트에서 지휘한 것을 시작으로, 뮌헨, 함부르크, 상트페테르부르크, 드레스덴, 부에노스아이레스 등 세계 주요 도시에서 환영받았다. 1891년 3월 빈 공연 이후, 26세의 마스카니는 세계적인 작곡가로 발돋움했다.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의 성공 이후에도 마스카니는 왕성한 활동을 이어가며 다음과 같은 작품들을 발표했다.
- 1891년 10월 31일: 오페라 《친구 프리츠》 (로마 테아트로 코스탄치 초연)
- 1892년 11월 10일: 오페라 《란초》 (피렌체 테아트로 라 페르골라 초연, 본인 지휘)
- 1894년: 오페라 《실바노》 완성
- 1895년 2월 16일: 오페라 《구글리에르모 라트클리프》 (밀라노 라 스칼라 극장 초연)
- 1895년 3월 15일: 오페라 《실바노》 (밀라노 라 스칼라 극장 초연)
- 1896년 3월 2일: 오페라 《자네토》 (페사로 음악원 초연, 본인 지휘)
- 1898년 6월 29일: 교향시 《자코모 레오파르디》 (레칸티 초연, 본인 지휘)
- 1898년 11월 22일: 오페라 《아이리스》 (로마 테아트로 코스탄치 초연, 루이지 일리카와 첫 협업)
1895년에는 페사로의 로시니 음악원 원장으로 취임하여 교육자로서의 경력도 시작했으며, 1899년 5월에는 부친상을 당했다. 이 시기는 마스카니가 작곡가이자 지휘자로서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며 명성을 누린 전성기였다. 비록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의 압도적인 성공이 다른 작품들을 다소 가리는 면이 있었으나, 그는 꾸준히 새로운 작품을 선보이며 이탈리아 오페라계에 중요한 족적을 남겼다.
2. 4. 중년기 (1910-1939)
1910년 8월, 마스카니는 무솔리니와 함께 일하며 로마와 밀라노의 오페라 하우스에서 감독직을 맡았다. 그러나 1945년 4월, 이탈리아 해방 위원회가 그의 모든 직위를 박탈하고 작품을 금지시켰다. 그는 로마의 그랜드 호텔 플라자에서 머물렀지만, 그곳에서 1945년 8월 2일, 8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의 장례식은 8월 4일에 거행되었으며, 유해는 로마에 안장되었다. 이후 1951년, 그의 유해는 고향인 리보르노로 이장되어 명예를 회복했다.마스카니의 작품 중 일부, 특히 오페라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와 《친구 프리츠》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높이 평가받고 있으며, CD로 발매되어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고 있다.
2. 5. 말년 (1940-1945)
1940년, 그의 가장 인기 있는 오페라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의 50주년 기념 행사가 이탈리아 전역에서 열렸고, 마스카니 본인이 직접 지휘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 오페라는 마스카니의 지휘 아래 라 스칼라에서 La Voce del Padrone|라 보체 델 파드로네ita("His Master's Voice") 레이블로 녹음되었으며, 그는 특별한 구두 소개를 녹음하기도 했다. 이 녹음은 나중에 EMI에 의해 LP와 CD로 재발매되었다.1942년, 교황 비오 12세와의 만남 이후, 로마 가톨릭 신자였던 마스카니는 결핵을 앓던 조카가 교황이 축복한 묵주와 은메달을 받은 후 완치되었다고 말했다는 내용이 신문에 보도되기도 했다.[11]
한편, 마스카니는 파시스트당 정권 하에서 밀라노 스칼라좌 감독 자리를 얻기 위해 무솔리니에게 접근하기도 했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이탈리아가 항복한 후, 이러한 행적은 그에게 어려움을 안겨주었다.
1943년 4월, 마스카니는 라 스칼라에서 마지막으로 ''친구 프리츠''를 지휘했다. 이때 그는 건강 문제로 의자에 앉아서 지휘해야 했다. 그의 로마 오페라 극장에서의 마지막 시즌은 1944–45년이었으며,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와 ''친구 프리츠''를 공연했다.
마스카니는 1945년 8월 2일, 로마의 그랜드 호텔 플라자 아파트에서 사망했다. 8월 4일에 장례식이 열렸으나, 파시스트 정권과의 연관성 때문인지 이탈리아 당국은 참석하지 않았다. 그는 전후 모든 재산을 몰수당하고 호텔에서 쓸쓸하게 생을 마감했다.
3. 주요 작품
3. 1. 오페라
-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 (Cavalleria Rusticana, 시골 기사도): 1890년 5월 17일 로마 테아트로 코스탄치 초연. 대본: [16][17] 간주곡이 특히 유명하다.
- 친구 프리츠 (L'amico Fritz): 1891년 10월 31일 로마 테아트로 코스탄치 초연. 대본: [18]
- 란차우 (I Rantzau): 1892년 11월 10일 피렌체 테아트로 라 페르골라 초연.
- 구글리에르모 라트클리프 (Guglielmo Ratcliff): 작곡 1885년~1890년대 초, 1895년 2월 16일 밀라노 테아트로 스칼라 초연. 대본: [15]
- 실바노 (Silvano): 1895년 3월 25일 밀라노 테아트로 스칼라 초연.
- 자네토 (Zanetto): 1896년 3월 2일 페사로 리체오 뮤지컬 초연.
- 아이리스 (Iris): 1898년 11월 22일 로마 테아트로 코스탄치 초연. 대본: [19]
- 가면들 (Le Maschere): 1901년 1월 17일 제노바 테아트로 카를로 펠리체, 토리노 테아트로 레지오, 밀라노 테아트로 스칼라, 베네치아 테아트로 라 페니체, 베로나 테아트로 필라르모니코, 로마 테아트로 코스탄치에서 동시 초연.
- 아미카 (Amica): 1905년 3월 16일 몬테카를로 초연 (프랑스어).
- 이자보 (Isabeau): 1911년 6월 2일 부에노스아이레스 테아트로 콜리세오 초연.
- 파리지나 (Parisina): 1913년 12월 15일 밀라노 테아트로 스칼라 초연.
- 로돌레타 (Lodoletta): 1917년 4월 30일 로마 테아트로 코스탄치 초연.
- 일 피콜로 마라 (Il piccolo Marat): 1921년 5월 2일 로마 테아트로 코스탄치 초연.
- 피노타 (Pinotta): 작곡 1880년, 1932년 3월 23일 산레모 카지노 초연. 칸타타 ''인 필란다''(1881)를 각색.
- 네로네 (Nerone): 1935년 1월 16일 밀라노 테아트로 스칼라 초연. 1890년대와 1930년대 사이에 작곡된 음악 포함.
3. 2. 오페레타
- ''시'' (1919년 12월 13일 퀴리노 극장, 로마)
3. 3. 기타 작품
- 독창자, 합창단, 오케스트라를 위한 ''글로리아 미사 F 장조'' (1888)
- 《자코모 레오파르디에게》, 칸타타 (독창(소프라노)과 관현악, 1898년 6월 19일, 레카나티, 테아트로 페르시아니)
- 《나폴리의 왕》, 로망스 (테너와 관현악, 1885년 3월 18일, 크레모나, 테아트로 무니치팔레)
마스카니는 그의 오랜 경력 동안 많은 오페라를 구상했으나, 일부는 완성되지 못했다. 다음은 완성되지 못한 프로젝트의 일부 목록이다.
작품명 | 대본가 | 시기 |
---|---|---|
질리아 (Zilia) | 펠리체 로마니 (Felice Romani) (추정) | c. 1877 |
스캄폴로 (Scampolo) | 다리오 니코데미 (Dario Niccodemi) (추정) | c. 1921 |
이 비안키 에 이 네리 (I Bianchi ed i Neri) | 마리오 기잘베르티 (Mario Ghisalberti) | c. 1938 |
4. 평가 및 영향
생전에는 오페라 작곡가와 지휘자로서 큰 성공을 거두었다. 그의 작풍은 동시대의 친구이자 라이벌이었던 푸치니와는 매우 달랐으며, 이 때문에 평론가들로부터 작품이 과소평가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파시스트당 정권이 들어서자, 밀라노 스칼라좌 감독 자리를 얻으려는 목적으로 무솔리니에게 접근하기도 했다. 이러한 파시즘 정권과의 연관 때문에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이탈리아가 항복한 후, 모든 재산을 몰수당하고 로마의 한 호텔에서 외롭게 생을 마감하는 비극적인 말년을 보냈다.
그의 유해는 로마에 묻혔다가 1951년 고향 리보르노로 이장되면서 명예가 회복되었다. 대표작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와 『프리츠 친구』 등 일부 작품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높이 평가받아 음반으로 발매되고 있다.
5. 미디어
1980년 영화 분노의 질주의 사운드트랙에는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의 간주곡, 실바노의 뱃노래, 그리고 구구엘모 라트클리프의 간주곡(일명 '라트클리프의 꿈')이 사용되었다.[12]
1990년 영화 대부 3는 팔레르모의 마시모 극장에서 상연된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를 영화의 클라이맥스 장면으로 사용했으며, 마이클 콜레오네의 아들 앤서니가 투리두 역을 맡았다. 영화는 간주곡이 흐르면서 끝을 맺는다.[13]
참조
[1]
LPD
[2]
EPD
[3]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Mascagni
2019-05-21
[4]
웹사이트
Mascagni
https://www.collinsd[...]
HarperCollins
2019-05-21
[5]
dictionary
Mascagni, Pietro
https://en.oxforddic[...]
Oxford University Press
[6]
Merriam-Webster
Mascagni
2019-05-21
[7]
웹사이트
Mascagni L'amico Fritz DG 4778358 [CF]: Classical Music Reviews – March 2010 MusicWeb-International
http://www.musicweb-[...]
2018-03-23
[8]
book
Dizionario Biografico degli Italiani
https://www.treccani[...]
2024-01-05
[9]
journal
Coupling: Mascagni and Leoncavallo
Royal Opera House
[10]
book
Pietro Mascagni – A Bio-Bibliography
Greenwood Press
[11]
뉴스
Miracles and visions may make Pius XII a Saint
United Press International
1958-10-09
[12]
book
Changing Tunes: The Use of Pre-existing Music in Film
https://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Ltd.
[13]
웹사이트
Cavalleria Rusticana and metatextuality in Francis Ford Coppola’s The Godfather III
http://www.britishco[...]
2003-04-06
[14]
웹사이트
MASCAGNI NEW GENERATION FESTIVAL
https://www.pietroma[...]
www.pietromascagni.com
2020-10-01
[15]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16]
웹사이트
http://rick.stanford[...]
[17]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18]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19]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